본문 바로가기

2008 국립공원/조도

5월22일 조도(맑음)

 : 여미선착장 좌측 -> 여미마을 뒷편 -> 방죽기미 우측해안가 끝부분 -> 방죽기미해수욕장 -> 율목선착장 부근 -> 동구방파제 뒷 -> 맹성포구

1.여미선착장 좌측(09:47)

사용자 삽입 이미지

좌측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포트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미선착장

상조도의 여미선착장의 좌측에는 수직절벽의 암반이 상단부에 존재하며 절리발달로 인한 낙석의 위험요소가 있으며 하단부 암괴에는 역들이 없어지고 그 자리에 포트홀이 형성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타포니도 발견된다.  

2.여미마을 뒷편(10:1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역이 포함된 돌과 현무암(?)

선착장에서 마을 뒷편으로 가면 파식대 위에 많은 거력들로 이루어진 해안이 나온다. 이완암괴 및 평탄면에는 많은 역이 포함되어 있다.

3.방죽기미 우측해안가 끝부분(10:44)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방죽기미해수욕장 우측에서 해안가를 타고 10여분을 걸어서 가면 많은 침식작용과 풍화작용에 의한 해안타포니가 형성되어 있다. 암석에는 대부분 유문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분적으로 응회암이 교호되고 있다. 층상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회색이지만 부분적으로 적홍색을 띠는 곳도 있다.

4.방죽기미해수욕장(11:04)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방죽기미해수욕장(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방죽기미해수욕장(중간)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방죽기미해수욕장(우)

방죽기미해수욕장은 모래해안은 폭 10m 내외이고 썰물때는 약 500m 내외로 물 빠져 자갈과 뻘이 혼재해 있어 해수욕장으로써의 기능은 상실했다. 우측의 노출된 암반에는 층상구조로 유문암으로 형성되어 있다.

5.율목선착장 부근(11:54)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배후습지(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배후습지(우)

율목선착장 부근에 가면 방파제 뒷편으로 배후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길이 150m, 폭 100m 내외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변에는 양식장과 몇개의 창고등이 있다.

6.동구방파제 뒷(12:10)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배후습지(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배후습지(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배후습지(안)

동구마을 앞 방파제 뒷편으로 길이 약 1Km, 폭 300m 내외로 배후습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방파제 너머로는 동구갯벌이 있다. 습지 안에는 여러종의 철새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7.맹성포구(12:20)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맹성포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포구(좌)

맹성마을을 지나 능선을 넘어가면 아담한 맹성포구가 나온다. 맹성포구 좌측 끝으로 가면 측면에 옅은 보라색과 회색으로 구성된 유문암이 발견되며 많은 역들이 포획되어 있다.

'2008 국립공원 > 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21일 관매도/조도(맑음)  (0) 2008.06.04
5월20일 조도(맑음)  (2) 2008.06.04
5월19일 조도(맑음)  (0) 2008.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