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국립공원/조도
5월20일 조도(맑음)
레몬트리나
2008. 6. 4. 19:47
: 신전선착장 좌측 -> 신전해수욕장 중간 -> 육동갯벌 -> 읍구갯벌 -> 읍구항 -> 몽돌해변 좌측 -> 몽돌해변 -> 몽돌해변 우측 -> 모라캐해수욕장 -> 곤우갯벌 -> 세목무인등대 앞 -> 세목갯벌 -> 조도대교 -> 보리섬 -> 맹성갯벌 -> 선고랑소공원 10m전 -> 선고랑공원 부근
1.신전선착장 좌측(10:12)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신전리 하조도지구
신전선착장쪽 |
좌측해안 |
타포니 |
2.신전해수욕장 중간(10:44)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신전리 하조도지구
중간에서 본 신전해수욕장(좌) |
중간에서 본 신전해수욕장(우) |
우측 끝에서 본 신전해수욕장 |
신전해수욕장은 길이 1Km 내외, 폭 10~50m 내외로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은 모래사장이 10m 내외로 해수욕장의 기능은 상실된것 같고 우측만이 50m 내외로 모래사장을 형성하고 있어 해수욕장의 기능하고 있다.
현무암 관입 |
석영맥 |
타포니 |
3.육동갯벌(12:00)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육동마을
육동갯벌(좌) |
육동갯벌(우) |
방풍림 |
4.읍구갯벌(12:10)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읍구마을
5.읍구선착장(12:30)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읍구마을
읍구선착장(우측 해안가) |
절리 |
6.몽돌해변 좌측(14:20)
해식애 |
파식대 |
퇴적암 |
7.몽돌해변(14:49)
몽돌해변 |
몽돌 |
몽돌해변(전경) |
8.몽돌해변 우측(15:00)
파식대 |
층리구조 |
규화목 |
9.모라캐해수욕장(15:40)
모라캐해수욕장(좌) |
모라캐해수욕장(우) |
모라캐해수욕장(중간) |
낮은 모래언덕 |
통보리사초와 나팔꽃 |
게 |
10.곤우갯벌(16:08)
곤우갯벌(좌측부분) |
곤우갯벌(우측부분) |
11.세목무인등대 앞(16:30)
파식대 |
타포니 |
가까운 라배도 |
12.세목갯벌(16:45)
세목갯벌(좌) |
세목갯벌(중간_꽃게양식터) |
세목갯벌(우) |
13.조도대교(17:03)
조도대교 |
보리섬에서 본 조도대교 |
기념비 |
총연장 510m, 교폭 8.2m로 국도 2차선으로 조도면의 중심지인 하조도를 상조도 주민들이 이용하기에 편리해졌다.조도대교는 그 기능성에서뿐만 아니라 예술성에서도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14.보리섬(17:20)
보리섬 절개면 |
석영맥 |
15.맹성갯벌(17:41)
맹성갯벌(좌) |
맹성갯벌(중간) |
맹성갯벌(우) |
16.선고랑소공원 10m전(17:55)
습지 |
제방 |
17.선고랑공원 부근(18:12)
선고랑 소공원 |
도로공사후 절개면(다이크) |
도로공사후 이완암괴(해안가) |
선고랑 소공원은 도로를 만들기 위해서 산을 깎아서 만들어진 공원이다. 공원에는 잠시나마 쉬어갈수 있는 조그만한 정자가 있으며 저 멀리 조도대교도 보인다. 산의 절개면은 아주 뚜렷한 다이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해안가로는 공사때의 이완암괴들이 놓여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