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 국립공원/주왕산

주왕산 4주차

4월 1일(맑음) 


  : 절골 공원지킴터 -> 신술골 입구

1.절골 공원지킴터(14:27)
-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절골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절골 공원지킴터

 절골계곡은 길이가 약 10km에 이르며 맑고 개끗한 물이 사계절 흐르고  기암괴석이 우뚝 솟아 있어 그 아름다운 산세가 주왕산의 본 계곡인 주방계곡과 비교할 때 조금도 손색이 없다. 또한 사람의 발길이 적어 아직도 원시의 풍경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계곡 내에는 각종 식물이 서식하고 있어 자연학습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2.절골 공원지킴터에서 약 100m(14:50) -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절골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상단부(큰암괴)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단부(분리된 작은암괴)

 절골 공원지킴터에서 탐방로 윗쪽으로 약 100m지점 좌측 경사면의 상단부에 대형암괴들이 존재하고 하단부에는 분리된 작은 암괴들이 다수 분포하고 있다.

3.절골계곡 첫번째 다리(15:03) -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절골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형암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절골 첫번째 다리

 절골계곡 첫번재 다리 좌측에 대형암괴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단부에는 작은 암석파편들이 있다.주변에는 낙석주의 표지판과 우측 계곡은 영화"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촬영장소였다.

4.절골계곡 두번째 다리(15:13) -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절골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두번째 다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첫번째 다리에서 10여분 걸으면 두번째 다리가 나온다. 다리 아래에 기반암이 형성되어 있으며 포획암도 다수 보인다.

5.절골계곡 세번째 다리(15:26) -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절골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번째 다리

 다리 우측으로는 하천의 마식작용으로 인해 포트홀이 형성되었으면 포획암도 보인다.

6.절골계곡 네번째 다리(15:56) -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절골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폭포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폭호

 네번째 다리 아래에 폭포와 폭호가 형성되어 있으며 폭포의 높이는 2m 내외이고 폭호의 폭은 약 5m정도 된다.

7.신술골 입구 200m 전(16:33) -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절골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천의 침식작용으로 인해 암석이 노출되어 있으며 깊지않은 작은소를 이루고 있다.

8.신술골입구에서 약 300m(16:56)-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절골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신술골입구에서 약 300m를 올라가면 하천의 침식작용으로 조그만한 소가 3개를 형성하고 있으며 주변의 암석은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


4월 2일(흐림)


 : 후리메기 삼거리 -> 사창골 -> 가메봉 -> 가메봉 삼거리 -> 큰골 -> 내원동 -> 내원마을

1.후리메기 삼거리(10:19)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후리메기 삼거리


차량으로 학소대까지 이동한 후에 후리메기입구에서 후리메기 삼거리까지 도보로 이동함.

2.후리메기 삼거리에서 약350m(10:40)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메봉 2.2km 표지판 가기전 하천에 작은 폭포와 소를 형성하고 있으며 측면에는 약 25m정도의 암벽이 있음.

3.사창골(10:58)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계곡수의 침식작용으로 암반에 골짜기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단부에는 약 5m정도의 폭호가 있다.

4.사창골 첫번째 다리(11:09)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탐방로 다리 옆으로 높이 5m정도의 폭포가 형성되어있으며 폭 3m내외의 폭호를 형성하고 있다.암석에는 이끼가 많이 보인다.

5.사창골 첫번째다리에서 약 30m(11:19)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리에서 10여분 가량 올라가면 총 30m 길이에 5개의 소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소 폭은 평균 3m 내외이다.

6.사창골 2-14표지목(11:33)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2-14 표지목(가메봉1.5km) 우측에 하트모양의 폭 3m 내외의 소를 형성하고 있으며 주변에는 폭 2m,,길이 4m의 암석이 있다.

7.가메봉 0.8km 전(12:07)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메봉1.3km표지판에서 시작되는 급경사 탐방로를 500m 타고 올라가면 탐방로 곳곳에 암석들이 보임.

8.가메봉 0.7km 전(12:34)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메봉 0.7km 전 탐방로 우측에 흑갈색의 암석이 있다.

9.강우량 자동관측탑 옆(12:44)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강우량 자동관측탑 옆 폭 1m, 길이 3m 가량의 암석에서 주변의 경관사진을 찍고 점심을 먹음.

10.2-11 표지목 20m 상부의 계단옆(13:52)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11표지목 위로 20m정도 올라가면 나무계단이 나오는데 우측으로 대형 암벽을 형성하고 있다.

11.가메봉 정상(14:08)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메봉 정상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메봉 측면

날씨가 좋으면 영덕까지 볼수가 있으며 주왕산의 거의 모든 봉우리를 다 볼수가 있다.

12.가메봉 삼거리(14:42)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13.가메봉 삼거리 150m아래(14:51)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메봉 삼거리에서 내원동방향으로 150m 내려가면 우측에 암반이 층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암반 사이에는 나무들이 자라고 있다.

14.가메봉 0.8km 아래(15:17)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메봉 0.8km 아래 내원동 방향으로 내려가면 탐방로 우측에 다수의 이완 암괴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좌측에는 골짜기를 형성하고 있다.

15.큰골 내원오교 부근(15:43)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원오교 부근

큰골의 내원오교 아래쪽에 높이 1.5m 내외의 작은 폭포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단에는 폭 5m의 소를 이루고 있다.주변 탐방로에는 돌로 쌓은 초소같은게 보임.

16.큰골(가메봉 2km 아래)(16:22)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큰골(가메봉1.9km) 표지판에서 내원마을 방향으로 100m 내려가면 탐방로 좌측에 폭 10m내외의 소를 발견할수 있다.소 양측면의 암석들은 층리구조를 하고 있다.

17.내원 삼교 부근(16:37)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큰골로 이어지는 작은 골짜기에 높이 1.5m내외를 폭포와 폭 3m, 길이 5m 정도의 소가 형성되어 있다.

18.내원마을(16:59)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내원마을 100m 아래(17:04) -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 상의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원마을에서 100m 아래로 내려가면 좌측에  길이 100m, 폭 5m 내외로 하천의 하상이 기반암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물속의 암석에는 이끼가 많다.


4월 3일(맑음)

 : 신술골 -> 절터 -> 대문다리 -> 절골탐방지원센터 -> 피나무골 -> 우설령 -> 청련사 -> 영덕

1.절터 150m 전(10:23) -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절골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절터 가기전 150m 지점 우측에 하천의 굴곡으로 폭 3m, 길이 10m 내외로 기반암에 소를 형성하고 있다.

2.절터(10:38) -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절골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절터(운수암)

예전에 운수암이라는 절이 있었지만 현재는 흔적만 남아 있어서 절터로 부르게 되었다.

3.절터에서 150m 상부(10:46) -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절골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절터에서 150m 위로 올라가면 탐방로 좌측에 폭 3m, 길이 5m 내외의 소가 형성되어 있다.

4.대문다리 100m 전(11:15) -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절골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문다리 100m 전 탐방로 좌측에 높이 5m 내외의 폭포와 폭 3m, 길이 8m 내외의 소를 형성하고 있으며 계곡수의 지속적인 침식발생 중이다.

5.대문다리(11:36) -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절골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문다리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문다리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갈전골

대문처럼 생긴 나무다리가 있었다고 하여 대문다리라 불리우고 있으나 지금은 그 흔적이 남아 있지 않다.좌측의 계곡과 우측의 갈전골 계곡이 합류하는 곳으로 50m 내외를 기반암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단부는 폭 10m, 길이 20m 내외로 계곡수가 고여있다.

6.피나무골(14:40) -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절골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골 하단부에는 작은 다목적댐이 설치되어 있으며 댐 윗쪽으로는 많은 토석들이 쌓여있다.

7.914번 지방도로(14:53) -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절골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낙석 위험구간

사용자 삽입 이미지

914번 지방도로

피나무재의 914번 지방도로 좌측의 공원구역으로 추가적인 낙석 위험요소가 보임.

8.별바위(15:22) - 청송군 부동면 이전리 절골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설령에서 본 별바위

주산지에서 바라볼때 동쪽 산 정상에 위치한 기암으로 별바위, 성암(星岩)이라 부른다. 지명에 얽힌 이야기로는 옛날 한 선비가 과거시험을 보러 가던중 재를 넘어가다 우연히 바위를 쳐다보니 바위사이에 별이 떠 있었다, 선비는 이 별을 보고 소원을 빌었고 그 후 소원대로 과거에 급제하였다. 그 후 마을 사람들은 이 바위를 별바위라 부르고 소원을 빌었다고 전해진다.

9.우설령(15:2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청송군에서 본 우설령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덕군에서 본 우설령

영덕과 청송을 연결하기 위해서 1971년 6월 1일 착공해서 1972년 4월 6일에 완공되었다. 고도는 495m

10.청련사 - 영덕군 달산면 덕산리 영덕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11.청련사 뒷편(16:19) - 영덕군 달산면 덕산리 영덕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청련사 뒷편

청련사 뒷편에 형성된 암벽은 길이 50m 내외로 낙석의 위험요소가 보임.

12.청련사 300m 전(16:35) - 영덕군 달산면 덕산리 영덕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청련사 300m 전 도로변 옆으로 이완 암괴들이 상당부분 분포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낙석 및 붕괴가 우려됨.

13.영덕 강구항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4월 4일(맑음)
 
 : 부일저수지 -> 용암사 -> 내기사저수지 -> 상의탐방지원센터

1.부일저수지(9:42) - 청송군 부동면 부일리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부일저수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방

부일저수지(생실터)는 다목적용도로 만들어진 인공호수로서 제방길이는 100m, 저수지 길이는 500m 정도 되며 제방 끝부분에 적색의 암괴가 형성되어 있다.

2.용암사 뒤 50m(10:58) - 영덕군 달산면 용전리 영덕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폭포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돌부처상

용암사 뒷편으로 50m 정도 올라가면 약 3m 높이의 폭포와 폭포 하단부에는 다수의 이완암괴가 존재하고 있으며 물은 암괴 하부로 흐르고 있으며 폭포 옆에는 돌부처상이 있다.

3.용암사(11:15) - 영덕군 달산면 용전리 영덕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용암사



4.용암사 200m 전(11:23) - 영덕군 달산면 용전리 영덕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용암사 200m 전 진입로 양옆으로 하단부가 침식된 형태를 지닌 다수의 암괴가 5~7m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은 물이 흐르고 있다.

5.용암사 입구(11:55) - 영덕군 달산면 용전리 영덕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용암사 입구 도로 좌측 상단부에는 큰암괴가 돌무더기를 형성하고 있으며 도로 우측 계곡쪽으로는 이완된 작은 암괴가 쌓여있다.

6.내기사저수지 상부(13:37) -  영덕군 지품면 기사리 영덕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기사저수지 상부 끝에서 암석 샘플을 함.

7.내기사 저수지 제방(13:59) - 영덕군 지품면 기사리 영덕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방의 길이 100m, 높이 100m 내외이며 저수지의 폭 100m, 길이 300m 내외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수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8.내기사저수지 300m 전(14:21) - 영덕군 지품면 기사리 영덕지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기사저수지 진입로 옆으로 토석류의 붕괴가 있으며 추가적인 붕괴 가능성도 상당히 많음.

'2008 국립공원 > 주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왕산 3주차  (0) 2008.04.19
주왕산 2주차  (0) 2008.04.19
주왕산 1주차  (0) 2008.04.19